목록전체 글 (167)
Hyunebee

DataGrip 사용 원격 서버에 접속 테이블생성 - 회원정보 회원정보 데이터 처리 생성된 회원 정보 테이블에 우리는 데이터를 생성하고, 읽고, 수정하고, 삭제할 수 있다. 보통 이러한 데이터 처리방법을 CRUD라고 한다. 데이터 베이스 HTTP CREATE INSERT PUT/POST READ SELECT GET UPDATE UPDATE PUT/PATCH DELETE DELETE DELETE INSERT 테이블 뒤에 나오는 열을 생략 가능 but 생략할 경우에는 VALUE 다음에 나오는 값들의 순서 및 개수가 테이블 이 정의된 열 순서 및 개수와 동일해야함 중복문제 security num = 주민번호이다. 주민번호는 개개인의 고유한 값이다. 중복될 수 없다. 그렇기 때문에 PK로 만들어주어야 한다. U..

데이터 베이스 인스턴스 생성/삭제 - CREATE DATABASE{DB이름}; - DROP DATABASE{DB이름} 테이터 베이스 계정 생성 - CREATE USER '계정명' @ '접속 도메인' IDENTIFIED BY '비밀번호' 여기서 우리가 계정을 만들고 사용하기 위해서는 권한또한 부여해 주어야 한다. GRANT ALL PRIVILEGES ON database이름.* TO '계정이름'@''접속도메인' IDENTIFIED BY '비밀번호' 현재 AWS의 EC2 의 가상 서버를 두고 window에서 접속하여 사용

데이터 베이스 구축 단계 1. 요구사항 수집 및 분석 기존 문서를 조사, 다양한 조사 방법을 실시한다. 2. 데이터 모델링(개념적 설계) 한 조직체에서 사용되는 정보의 모델을 구축하는 과정으로 사용자들의 요구사항 명세로 부터 개념적 스키마를 만듬 이때 보통 개체, 관계, 속성들을 식별하며 기본키와 후보 키 속성을 결정한다. 완성된 개념적 스키마는 ERD로 표현이 가능하다. 3. 데이터 베이스 설계(논리적 설계) 선택된 DBMS의 데이터 모델을 사용하여 논리적 스키마를 생성 논리적 스키마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개념적 설계의 ERD를 관계 데이터 베이스 스키마(논리적 스키마)로 사상해야한 다. 테이블 기술서의 형태의 산출물이 나오며 정규화 과정을 적용할 수 있다. 4. 물리 데이터 베이스 설계(물리적 설계 )..

데이터 모델 데이터 베이스의 설계에 대한 계획 데이터의 관계, 접근과 그 흐름에 필요한 처리 과정에 관한 추상화된 모형이다. 소프트웨어 개발과 유지, 보수의 기준이 되기 때문에 소프트웨어 공학의 중요한 이슈이다. 데이터 모델의 구성요소 1. 구조 : 데이터를 어떤 형태로 저장하고 있는가? 2. 연산 : 데이터로부터 정보를 찾을때 어떻게 처리하는가? 3. 제약조건 : 데이터의 무결성을 지키기위해 필요한 규칙은 무엇인가? 관계 데이터 모델의 구성요소 우리는 일상 생활의 다양한 데이터를 이름을 붙힌 집합으로 묶고 릴레이션이라는 관계 표현하는것을 관계 데이터 모델이라고 한다. 구성요소 데이터, 도메인, 카디션곱, 릴레이션, 함수 위에서는 구조를 만들었다. 그럼 규칙은 무엇일까 1. 도메인 제약 조건 -각 속성은..

정보시스템 데이터를 가공하여 정보를 생산하는 시스템 입력된 데이터를 가공(수집, 분류, 저장, 변형, 전달)해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정보 시스템의 유형 컴퓨터 미사용 1. 문서기반 컴퓨터를 사용하지않는 수작업 컴퓨터 사용 여기서 부터는 컴퓨터를 사용하기 시작한다. 초기의 정보 처리는 응용 프로그램안에 데이터가 종속되어 있었다. 즉, 처리논리, 데이터, 데이터의 구조가 종속적 2. 파일 기반 시스템 파일 기반 시스템은 응용 프로그램이 처리논리와 데이터의 구조를 담당하고 파일안에 데이터를 넣어둠으로써 종속성을 줄였다. but 아직 데이터를 응용 프로그램에서 통일하기 어려움 3. 데이터 베이스 기반 시스템 여기서부터 응용프로그램은 처리논리만 담당하고 데이터베이스가 데이터의 구조와 데이터를 담당하면서 ..

class Node { int val; Node next; Node(int val) { this.val = val; this.next = null; } } public class Practice2 { public static Node solution(Node[] lists) { if (lists == null || lists.length == 0) { return null; } return divideList(lists, 0, (lists.length-1)); } private static Node divideList(Node[] lists, int left, int right) { if(left == right){ return lists[left]; } int mid = left + (right - l..

4가지 방법이 있지만 이중에서 분할 정복을 사용해서 문제를 풀것이다. 1. 왼쪽 경우에서 가장 큰값 2. 오른쪽 경우에서 가장 큰값 3. 겹치는 경우를 비교 public class sol { public static int solution(int[] nums) { if (nums == null || nums.length == 0) { return 0; } return divideArr(nums, 0, nums.length-1); } public static int divideArr(int[] arr, int left, int right){ if(left == right){// 배열의 길이가 1일 경우 전부 나눠진 경우 리턴 return arr[left]; } int mid = left + (right -..

그리디 import java.util.*; import java.util.stream.Stream; class Money{ int Money; int time; public Money(int money, int time) { this.Money = money; this.time = time; } public int getMoney() { return Money; } public int getTime() { return time; } }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canner sc = new Scanner(System.in); int N = sc.nextInt(); // 배열의 크기 ArrayList arrayList = ..